여러분의 컴퓨터는 안녕한가요? 지난 5 12일 금요일, Shadow Brokers라는 해커집단이 유포했다고 알려진 Wanna Cry의 공격이 전 세계에서 관측되었습니다. 금요일에 대규모로 퍼진 탓에 주말 뉴스에서는 컴퓨터를 켜면 안 된다.”출근하면 랜선부터 뽑아야 한다.”라는 이야기를 끊임없이 들을 수 있었고 적절한 대응 없이 컴퓨터를 사용했던 곳은 실제로 Wanna Cry에 감염되어 버렸습니다. 뉴스에서 경고했던 월요일이 지나간 지금 돌아보면 전 세계적인 피해 규모에 비해서 한국 내의 피해는 미미한 편으로 이번 사태는 마무리되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랜섬웨어뿐만 아니라 사이버 테러 전체를 다른 관점에서 보고자 합니다.

대표적인 감염 사례로 CGV 광고 서버도 Wanna Cry에 당했죠. 출처: https://t.co/np5Cy55de8

 

Wanna Cry에 대한 공포가 한창 고조되었을 때, 저는 컴퓨터과학을 전공하고 있는 탓에 Wanna Cry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냐고 물어보는 지인들의 우려에 응답하고 있었습니다. 그 지인 중의 한 명이 다시는 볼 수 없는 죽은 아이의 사진이나 박사과정 5년 동안의 노력이 담긴 논문, 기존의 다른 랜섬웨어에 의한 피해를 언급하며 랜섬웨어 제작자들에 대한 실현 불가능한 처벌을 주장했고, 그 공허한 주장에 저는 피해는 안타깝지만, 평소에 부주의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라고 답했습니다. 그런데 지인의 반론이 제가 간과하고 있던 부분을 정확히 찔러버렸습니다.

가해자가 잘못한 것이다.

피해자가 피해자의 무고함을 항변할 필요가 없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IT업계에서는 보안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IT를 사용하는 사람은 누구나 예외 없이 보안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말하고, 보안수칙을 어기는 순간 IT를 잘못 사용하는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보안수칙에 대해 불평하는 사람들에게는 일상생활에서도 차도에 뛰어들지 말고 인도에서 걸어야 하는 것처럼 지켜야 하는 규칙이 많지만 체화되어서 불편함을 느끼지 못할 뿐이라고 비유합니다. 자동차는 18세기에 등장해서 2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아주 익숙해졌지만, 인터넷은 1980년대에서야 등장해서 아직은 생소하다는 논리죠.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이제 저는 아니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길에서 자동차를 타는 것과 도보로 걷는 것은 모두 적법한 행위입니다. 다만 차와 사람이 뒤엉키면 혼란스럽고 위험하니 사회적 합의를 통해서 차도와 인도를 나누고 효율과 안전을 추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명백한 범죄행위인 사이버 테러를 일상의 규칙에 빗대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사이버 테러가 피해자의 잘못이 아니라면 일반 사용자들은 테러에 대응하지 않아도 될까요? 안타깝게도 그것 또한 아닙니다. 법은 범죄행위를 규정하고 범죄자를 처벌하지만, 피해자를 보상해주지는 못합니다. 더구나 사이버 테러는 가해자를 검거하는 것마저 어려우므로 피해자가 가해자를 고소해서 보상을 받는 방법도 어렵고, 보상을 받더라도 이미 받은 피해를 그대로 남아버립니다. 엎지른 물을 주워 담을 수는 없습니다. 피해자는 잘못이 없지만, 피해를 받은 이후에는 이미 늦었습니다.

 

먼 옛날, 문명 이전의 원시시대에, 다른 모든 생물을 상대로 우위를 점한 호모 사피엔스에게 가장 위험한 생물은 같은 호모 사피엔스였다고 합니다. 시간이 흘러서 인간은 같은 인간끼리 파괴적인 대립을 유지한 상태로는 결코 이로울 것이 없다는 것을 깨달아, 사회를 만들고 자신을 스스로 문명화해서 번영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인간이 이룩한 문명의 최고 정점에 IT가 있습니다. IT 덕분에 정보의 기회가 평등해짐에 따라 사람들은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믿었습니다. 하지만 인간은 다시 상호 파괴적인 모습을 보이고 말았습니다. IT라는 가장 문명적인 방법으로 원시로 돌아가 버린 인류의 아이러니에 씁쓸함을 감출 수 없습니다.

 

Ps. Microsoft MVP가 알려주는 Wanna Cry에 대한 정확한 대응법을 소개합니다. ( http://naver.me/GDWtqucb )

Posted by rushTENm :
  • 본 필드테스트에 사용된 라이젠 7 1700 CPU는 닥터몰라에서 대여받았습니다. 주최 측이 제시한 필수 벤치마크 항목과 순위에 따른 상품은 닥터몰라의 공지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공지된 항목 이외의 다른 부분에서는 어떠한 간섭도 없었음을 밝힙니다.

 

지난 10년이라는 시간동안 AMD는 2등이라고 불리기 어색할만큼 처절하게 발렸습니다. 최초의 네이티브 쿼드코어였던 바르셀로나는 지연과 버그로 몸살을 앓았고, 인텔의 모래다리를 밀어버릴 줄 알았던 불도저는 모래 속에서 허우적거리다가 담쟁이덩굴로 뒤덮혀 존재감마저 희미해졌습니다. 같은 회사의 그래픽카드는 간간이 5000번대나 200번대 같은 물건이 나와주었던 것에 비교해봐도 참혹하기 그지없습니다.

그런데, 올해 3월 AMD는 라이젠 7을 출시했고 당당하게 인텔과 경쟁이 가능함을 보여줬습니다. 그리고 라이젠 5를 통해서 라인업을 확장하고 인텔을 타도하려는 시점이 거의 눈앞에 다가왔죠. 아직 발매 전의 CPU를 구해서 테스트를 할 수는 없기 때문에 라이젠 7의 코어를 비활성화해서 라이젠 5를 성능을 가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의 사양입니다.


항목

제품명

CPU

AMD 라이젠 7 1700

메인보드

MSI B350M 박격포

메모리

G.SKILL DDR4 16G PC4-25600 CL16 TRIDENT Z (8Gx2, 2133MHz)

그래픽카드

ZOTAC 지포스 GTX1050 Ti DUALSILENCER OC D5 4GB

SSD

삼성전자 960 EVO M.2 2280 (250GB)

OS

Windows 10 Pro 1703


IMG_8653_.jpg

 

 

cz1.png

순정 1700의 CPU-Z 스크린샷입니다. 그런데 XFR까지 활성화되어서 37.5배수가 들어갔네요(...) 베이스 클럭은 3.0GHz가 맞고 보통은 3.2GHz로 보여집니다.

 

테스트 시나리오는 4가지로

  1. 8core, 3.0GHz (1700 순정)
  2. 6core, 3.6GHz (1600X 성능 예상)
  3. 8core, 3.85GHz (1700 오버)
  4. 6core, 3.9GHz (1600 오버 예상)

입니다.

 

 

Picture1.png

첫번째로 CPU-Z입니다. 당연하게도 싱글 스레드 성능은 클럭에 따라가고 멀티 스레드는 코어가 많으면 유리한 모습입니다.

Picture2.png

CPU-Z가 제공하는 레퍼런스로 인텔 CPU와 비교해보면 이제 라이젠은 인텔과 같은 수준의 클럭대 성능비를 구현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인텔은 스카이레이크의 속도를 끌어올린 카비레이크로 싱글스레드 성능이라는 자신의 우위를 지키고 있는 모습이고요.

 

Picture3.png

두번째는 7-Zip의 압축속도 비교입니다. 싱글 스레드 성능은 클럭에 따라가고 압축을 해제할 때는 코어가 많을 수록 유리하다는 점은 CPU-Z와 같습니다. 그런데 압축할 때는 코어의 수보다도 클럭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모습이 흥미롭습니다.

 

Picture4.png

세번째의 시네벤치는 클럭보다도 코어의 수가 훨씬 중요한 항목입니다. 모든 프로그램이 이렇게 병렬화가 잘 되었으면 불도저부터 엑스카베이터에 이르는 중장비 시리즈들의 운명은 달라졌을까요?

 

 

지금까지 라이젠 7을 통해서 라이젠 5의 성능을 예측해보았습니다. 벤치마크 프로그램들은 멀티 스레드를 잘 활용하는 탓에 7과 5라는 세그먼트 차이를 돋보이게 하는 그래프들이 튀어나와버렸지만 이 그래프들은 가격이라는 요소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코어를 조금 희생한 대가로 더 높은 클럭과 더 낮은 가격은 분명히 라이젠 5의 메리트입니다. 시장은 이미 그 점을 반영해서 인텔의 i7 7700은 오픈마켓에서 30만원 대 중반으로, i5 7600은 20만원 대 중반으로 내려와 각각 32.1만원과 24.2만원으로 예정된 1600X와 1500X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같은 가격으로 AMD는 더 많은 스레드로, 인텔은 더 높은 클럭으로 대치하고 있는 모습이죠. 소비자들이 선택하는 건 과연 어느 쪽인지 기대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사족.

테스트 항목 중에 코어 수에 상관없이 최대한 오버클럭 해보기가 있는데 제 결과는 이렇습니다.

  1. 8core 1.488v 3.850GHz
  2. 6core 1.472v 3.900GHz
  3. 2+2core 1.456v 3.975GHz
  4. 4core 1.472v 3.975GHz
  5. 1+1core 1.456v 3.975GHz
  6. 2core 1.456v 3.975GHz

어떻게든 4GHz를 찍어보려고 코어를 2개만 활성화하는 오기를 부렸지만 4GHz를 넣으면 마우스가 뚝뚝 끊어지기 시작하고 억지로 벤치를 돌려도 점수는 더 떨어져서 의미가 없었습니다. 퓨리의 1000MHz에서 남은 50MHz까지 짜내어 출고하는 퓨리X가 떠오릅니다. 그런데 코어 8개를 위한 쿨러로 코어 2개만 식히니 히트파이프도 없는 기본 쿨러로도 온도가 참 착했더랍니다.

 

사족2.

게임 벤치를 위해서 퓨리X 엔지니어링 샘플을 섭외했지만 빼액 비프를 울리며 뱉어내서 벤치마크를 진행할 수 없었습니다. 이런 문제상황을 점검하기 위해서 만든 샘플이 맞을텐데 막상 당첨되니 포기하는 수 밖에 없었습니다.

 

사족3.

테스트 항목 중에 램클럭에 따른 성능 비교가 있어서 3200MHz까지 지원하는 램을 공수했고, MSi보드는 A-XMP 기능을 지원해서 프로필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지만, 정작 부팅이 안 됩니다. 3200은 커녕 2400도 지원 안해서 그냥 방열판 이쁜 램이 되어버렸죠. 스펙으로는 문제가 없는데 오버가 안 되니 어느 걸 바꿔야하나 진지하게 고민 중입니다.


Posted by rushTENm :

뜬금없이 "속도가 중요하지 않다니 이게 무슨 헛소리인가!"라고 생각하시면서 이 글을 보시는 분들께 먼저 죄송하다는 말씀부터 올립니다. 이번에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이론상의 최고 속도는 중요하지 않다."입니다. 이런 제목은 이미 "이론"이라는 2글자가 들어간 순간부터 지루하고 심심해져서 적당한 선을 넘어 낚시성 제목으로 가버렸습니다. 제 저렴한 글솜씨를 탓해주세요.




최고속도가 중요하지 않다는 건 LTE망이 안정화 된 이후 어느정도 공감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업계 2, 3등인 KT와 LGT가 "기가"를 외치며 속도경쟁을 이야기하고 있을때 1위인 bandLTE니 5G니 이상하자니 꺼내며 신경끄라고 이야기하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구체적으로 어느정도 수준이 필요한지 정확히 아시는 분들은 드물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속도가 얼마나 빨라야 하는지 그 기준을 제시하겠습니다. 이동통신은 얼마나 빨라야 하는 걸까요?




얼마나 빨라져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는 우선 뭘 하는가부터 생각해야 합니다. 우리는 휴대폰으로 뭘 하고 있을까요? SNS, 게임, 유튜브 같은 동영상, 웹서핑 정도를 예로 들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냥 말로만 하면 감이 잘 안 오니까 Citrix[각주:1]의 Mobile Analytics Report를 한번 보도록 하죠. 

아이폰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트래픽의 61%가 이미지고, 안드로이드폰의 경우에는 75%가 이미지입니다. 통신속도가 느리다면 원하는 이미지를 바로바로 못 보고 멍하니 기다리고 있어야겠죠. 같은 보고서를 보면 모바일에서 스포츠 동영상을 보는 비율은 6개월 전보다 2배 늘어났고, 데이터량을 기준으로 한 탑5 게임은 모두 동영상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의외로 트래픽의 비율을 보면 동영상보다 이미지가 훨씬 많긴 하지만 동영상이 이미지 보다 훨씬 더 빠른 통신 속도를 요구하니 동영상을 기준으로 얼마나 빠른 통신속도가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통신속도가 느릴 때 이미지는 기껏해야 MB단위이기 때문에 약간 인내심을 발휘해서 잠깐 기다리면 곧 보이지만 동영상은 뚝뚝 끊기면 버퍼링에 걸리니 아예 감상이 불가능하니까요. 




고화질 동영상을 끊기지 않고 보기 위해선 얼마나 빠른 통신속도가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휴대폰이 Full HD를 넘어서 QHD 화면을 쓰고 있긴 하지만 기준으로 잡기에 QHD 영상은 부적절하니 4.5GB짜리 Full HD 영화[각주:2]를 스트리밍으로 본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아주 단순하게 영화의 러닝타임을 2시간으로 잡고 비트레이트를 계산해보면 

고화질 동영상 보는데 필요한 대역폭 ≥ 4.5GB / 2h = 36864Mb / 7200s = 5.12Mbps = 5243kbps[각주:3]

입니다.




이제 통신사가 제공하는 속도를 볼까요? LTE Cat.6 단말기의 경우 다운로드 속도가 300Mbps, 한국에서 LTE-A라고 부르는 Cat.4 단말기는 150Mbps, LTE라고 부르는 Cat.3 단말기는 통신사가 서비스하는 주파수 대역폭에 따라서 100~75Mbps가 나옵니다. 가장 느린(?) LTE마저도 잘 터지기만 하면 고화질 동영상을 보는데에는 아무 지장이 없고 넘쳐납니다. 사실 3G라고 뭉뚱그려 표현했던 HSDPA마저도 14.4Mbps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LTE가 아니더라도 Full HD 동영상을 보는데 충분했습니다. 다만 통신사에서 망관리를 똑바로 안하고 있던 상태에서 무제한 요금제를 출시했기 때문에 일부 사용자들이 망에 너무 많은 부하를 줘버려서 실효속도는 3~4Mbps에 불과했고 동영상을 마음껏 재생하기에는 20%정도 부족해서 3G는 느리고 불편하다는 인식이 생겼던 겁니다. 




다른 방법으로 계산해볼까요? KT가 열심히 기가로 노래를 부르고 있긴 하지만 현재 보급된 무선공유기의 절대 다수는 802.11n 규격입니다. 그것도 5GHz가 아니라 2.4GHz 주파수를 쓰죠. 802.11n 와이파이를 2.4GHz 대역에서 쓰면 15만원 정도하는 고급 공유기에서야 50~60Mbps가 나오고 1~2만원짜리 공유기는 30Mbps를 조금 넘는 수준에서 그칩니다. LTE가 잘 터진다면 100Mbps니까 이미 와이파이보다 2배나 빨랐습니다. 기가 인터넷 이전의 광랜만해도 100Mbps니까 컴퓨터로 인터넷할 때 인터넷 속도에서 갑갑함을 느끼지 않으셨던 분들은 LTE부터는 속도가 빨라진 느낌을 받을 수 없었던게 당연합니다.[각주:4] 




정리해보겠습니다. 고화질 동영상 스트리밍에는 5Mbps가 필요하고 와이파이와 같은 수준으로 밖에서도 인터넷을 하려면 30~50Mbps면 충분합니다. 즉 75~100Mbps를 제공하는 LTE만으로도 충분하죠. 괜히 통신사가 떠드는 쓸데없는 마케팅에는 신경쓰지마세요. 본인이 휴대폰을 쓰는 곳에서 실효속도를 가장 잘 뽑아주는 통신사가 좋은 통신사입니다. 그러니 앞으로 데이터를 엄청나게 소모하는 새로운 서비스가 나오기 전까지는 "LTE는 느리지 않을까?"라고 걱정하시지 않아도 됩니다. 



  1. 모바일 워크스타일 구현을 위해 필요한 종합적인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글로벌 IT 기업입니다. [본문으로]
  2. 설마 30GB가 넘는 블루레이립을 떠서 NAS에 넣어두고 스트리밍으로 보실 건 아니죠? [본문으로]
  3. 제가 중학생 시절 2008년에 출시된 전자사전이 2000kbps까지밖에 재생하지 못 했던 걸 생각해보면 스마트폰이 얼마나 엄청난 물건인지 느껴지네요. [본문으로]
  4. 폰보다 컴퓨터가 느린 것 같은 느낌을 받는 분들은 컴퓨터를 바꿀 때가 된겁니다. 요즘에는 펜티엄에 SSD만 달아줘도 날아다닙니다. [본문으로]
Posted by rushTENm :